||||
공지사항종친동정파별게시판자랑스런 우리종친자유게시판전자앨범동영상자료실
  자료실 사랑방 > 자료실
                   
관리자 21世 신석호(申錫祜)
父 : 신면위(申冕瑋) 祖父 : 신진교 (申晋敎) 읍파(邑派) 호계공파(虎溪公派)

[상세정보]
이칭별칭 치암(痴菴) 寺谷修三
유형 인물
시대 근대
출생 – 사망 1904년(고종 41) 1월 22일 ~ 1981년 2월 13일
성격 역사학자
출신지 경상북도 봉화
성별 남
본관 아주(鵝洲)
저서(작품) 국사신강 조선사료해설집 홍의장군 등
대표관직(경력) 조선사편수회 수사관 진단학회 발기인 국사관 사무국장 고려대 교수 문교부 편수국장 성균관대 교수 학술원 회원 한국사학회 이사장 민족문화추진위원회 발기인 한국사연구회 회장 영남대 교수

[정의]
1904(고종 41)∼1981. 역사학자..

[가계]☜
본관은 아주(鵝洲) 호는 치암(痴菴)이다. 1904년 경상북도봉화에서 출생했다.

[활동 사항]
1910년부터 홍치유의 문하에서 한학을 수학했다. 1918년 4월 경북 봉화공립보통학교에 입학 3•1운동과 관련되어 1919년 6월 중퇴한 후 일본으로 건너가 1920년 4월 세이소쿠[正則]영어학교에 입학 1921년 3월까지 수학했다.

귀국 후 1921년 4월 중동학교에 입학 1924년 3월 졸업했다. 졸업 직후인 1924년 4월 경성제국대학 예과 문과에 입학 1926년 3월 수료 후 1926년 4월 경성제국대학 법문학부 사학과에 입학 1929년 3월 졸업했다. 조선총독부 직속 기구인 조선사편수회의 촉탁이 되었고 1930년 5월에는 조선사편수회 수사관보에 임명되고 1937년 9월 수사관으로 승진해 해방될 때까지 근무했다.

1930년 8월에는 청구학회의 편집위원이 되어 10년간 활동했다. 한편 1934년 진단학회의 발기인이 되었다. 1940년에는 기원2600년축전 기념장을 수여받았다.

해방 직후 조선사편수회에 근무한 경험을 살려 해방 후 일제가 없애려던 주한 일본공사관 기록 유리원판을 소각 직전에 빼돌려 일제의 침략상을 밝히는데 기여했다. 또 이 자료에 기초해 해방 후 한국사 연구기관의 모태가 된 국사관(현 국사편찬위원회)을 창설했다. 해방 직후 근현대 일본측 자료에 가장 정통한 학자 중 한명이었다. 1947년 한국산악회의 독도 학술 조사에 참가했다.

1948년 12월 역사잡지 《사해》에 한국의 독도 영유권 역사를 증명하는 논문을 발표했다. 이 글은 이후 독도 연구는 물론 한국의 독도 인식과 정책의 기본적인 골조를 세워놓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이후 1945년 8월 진단학회 상임위원 10월 조선역사협회 부회장 12월 조선사연구회 부회장이 되었다.

1946년 1월에는 임시중등국사교원양성소를 설립하고 강사로 활동했고 3월에는 국사관을 설립 9월 사무국장에 취임했다. 1946년 3월 고려대학교 교수로 임용되었고 1947년 1월 국민학교 및 중고등학교 사회과 교수요목제정위원 2월에는 국정교과서 편찬심의위원이 되었다. 1949년 문교부 편수국장이 되었다.

1951년부터 성균관대학교 교수를 겸임했으며 1954년 제1회 학술원 회원에 선출되었고 서울시사편찬위원회 위원으로 선임되었다.

1962년에는 독립유공자상훈심의위원회 위원과 유네스코한국위원회의 위원이 되었다. 1964년에는 종신회원이 되었다. 1961년에는 혁명재판사편찬위원회 위원이 되었고 1965년에는 민족문화추진회 발기인으로 참여했다.

1967년 12월 한국사연구회를 조직 회장으로 취임했다. 1981년 2월 13일 사망했다.

[학문과 저술]
저서에 《국사신강》(공저 1957) 《조선사료해설집》(1964) 《홍의장군》(1972) 등이 있다

[묘소]
묘는 현 경상북도 의성군 의성읍 오로리 오토산(五土山)에 있다.

[상훈과 추모]
대한민국 문화훈장(대통령장 1963)을 받았다.
2025-02-14
No. 제     목 글쓴이 날짜 조회
아주신씨 인물록   관리자 2025-01-24 17993
鵝洲申氏 墓碣銘(아주신씨 묘갈명)   관리자 2023-06-27 177068
아주신씨(鵝洲申氏) 고문서 목록   관리자 2021-08-27 306422
오봉(梧峯) 신지제(申之悌) 임진왜란 ○ 생애와 의병 활동 신수식   관리자 2021-06-10 260406
아주신씨시조(鵝州申氏 始祖)신영미(申英美)   관리자 2021-05-10 250304
아주신씨영모록(鵝洲申氏永慕錄)   관리자 2021-04-27 246369
아주신씨(鵝洲申氏) 오봉신선생 신도비명 전현수(경북대학교사학과교수)   관리자 2021-04-27 160362
의성(義城) 아주신씨(鵝州申氏) 가계(家系)와 고문서 자료(장필기)   관리자 2020-10-22 332942
600 동학농민전쟁과 의성 신면형(申冕瀅)  [ 1 ]  관리자 2025-03-05 17
599 의성읍지(義城郡誌 1985 人物篇 아주신씨)   관리자 2025-03-04 20
598 孝友錄 효우록 신원록(申元錄)  [ 1 ]  관리자 2025-02-25 29
597 慶尙監營啓錄 경상감영계록 신면호(申冕鎬)  [ 1 ]  관리자 2025-02-25 24
596 南譜 남보   관리자 2025-02-25 19
595 단밀 문풍 진작의 산실 봉성서당(鳳城書堂) 신원유(申元濡) 신우(申祐) 김안도(金安道)  [ 1 ]  관리자 2025-02-25 15
594 춘정집 (春亭集) 변계량(卞季良 1369 고려 공민왕18 ~ 1430 세종12)  [ 1 ]  관리자 2025-02-24 16
593 상산지 (商山誌) 신원유(申元濡) 신춘년(申椿年)  [ 3 ]  관리자 2025-02-24 25
592 무신창의록 (戊申倡義錄v2)  [ 1 ]  관리자 2025-02-24 18
591 고려 문하 주서 길재의 졸기   관리자 2025-02-20 26
590 義城지역 향촌지배층의 동학농민군 진압 申冕瀅(신면형)  [ 1 ]  관리자 2025-02-10 32
589 朝鮮時代 敎書 硏究 申之悌(신지제)  [ 1 ]  관리자 2025-02-10 30
588 退溪学資料叢塞解題(퇴계학자료총새해제) (신원록 申元祿 신달도(申達道))  [ 1 ]  관리자 2025-02-06 52
587 울릉도와 독도 그 역사적 검증 申奭鎬(신석호)  [ 1 ]  관리자 2025-02-06 45
586 禹仁圭의 哀感錄에 대한 고찰 申適道(신적도 1574∼1663)  [ 1 ]  관리자 2025-02-06 27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