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공지사항종친동정파별게시판자랑스런 우리종친자유게시판전자앨범동영상자료실
  자료실 사랑방 > 자료실
                   
관리자 13世 신달도(申達道)
父 : 신흘(申仡) 祖父 : 원록 (申元祿)
읍파(邑派)만오공파(晩悟公派)

출생 시기/일시 1576년 - 신달도 출생
활동 시기/일시 1610년 - 신달도 생원시에 급제
활동 시기/일시 1631년 - 신달도 홍문관 수찬에 임명
추모 시기/일시 1646년 - 신달도 도승지에 추증
추모 시기/일시 1658년 - 신달도 단구 서원에 배향
출생지 경상도 의성현 도암리 - 경상북도 의성군 의성읍
거주|이주지 한양 아현 - 서울특별시 마포구 아현동
수학지 장천 서원 - 경상북도 의성군 춘산면 빙계리
수학지 도산 서원 -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토계리
부임|활동지 전주 판관 - 전라북도 전주시
묘소|단소 오동산 - 경상북도 의성군 의성읍 비봉리
사당|배향지 단구 서원 - 경상북도 의성군 봉양면 분토리
성격 문신
성별 남
본관 아주(鵝洲)
대표 관직 홍문관 수찬

[정의]

조선 후기 의성 출신의 문신.

[가계]☜

본관은 아주(鵝洲). 자(字)는 형보(亨甫) 호는 만오(晩悟). 신준정(申俊禎)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참봉 신수(申壽)이고 아버지는 신흘(申仡)이며 어머니는 박윤(朴倫)의 딸 순천 박씨(順天 朴氏)이고 부인은 이난수(李鸞壽)의 딸 전주 이씨(全州 李氏)이다.

[활동 사항]

신달도[1576~?]는 어려서 족형(族兄) 신홍도(申弘道)에게 학문을 배우고 16세에는 장천 서원(長川 書院)[의성 빙계 서원(氷溪 書院)]에서 독서하였다.

임진왜란 이 일어나자 부친을 모시고 황학산(黃鶴山)에 피난했다고 한다. 1596년(선조 29) 안동의 도산 서원(陶山 書院)에 있는 조목(趙穆)을 찾아가 학문을 배우고 역동서원(易東 書院)에서 공부를 하였다.

부친의 권유로 장현광(張顯光)의 문인이 되기도 했다. 1603년(선조 36) 장현광이 의성 현령(義城 縣令)으로 부임했을 때 향교에서 수업을 받았고 광해군 시절 선산(善山)과 인동(仁同)을 수시로 찾아가 학문을 배웠다. 1610년(광해군 2) 생원시에 급제하고 1623년(인조 1) 정시(庭試)에 장원급제하였으며 그해 성균관 전적(成均館 典籍)과 성환도 찰방(聖歡道 察訪)에 임명되었다.

1624년 이괄(李适)의 난이 일어나자 국왕을 모시고 공주(公州)까지 따라 갔으며 그 해 전주 판관(全州 判官)에 제수되고 시폐(時弊)를 열 가지 조목으로 요약하여 「진시폐십조소(陳時弊十條疏)」를 올렸다. 이 후 형조(刑曹)와 예조(禮曹)의 정랑(正郞)을 거쳐 1627년 사간원 정언(司諫院 正言) 사헌부 지평(司憲府 持平) 예조 정랑(禮曹 正郞) 시강원 문학(侍講院 文學)과 필선(弼善) 사헌부 장령(司憲府 掌令)을 지냈다.

1627년 정묘호란이 일어나자 윤황(尹煌)과 함께 적극적으로 척화론을 주장했었다. 전란이 끝나고 4월에는 왕명으로 가도(椵島)에 머물고 있는 명나라 장수 모문룡(毛文龍)을 찾아가서 후금(後金)과의 화의가 본의 아님을 피력하였으며 조선인들을 함부로 죽이지 말 것을 당부하였다.

척화를 강력히 주장함과 동시에 인조반정의 공신 세력과 대립각을 세우기도 했다. 정묘호란이 일어나자 그 대처를 제대로 하지 못했다며 공신들을 공격하였다. 특히 인조반정의 유력한 공신 이귀(李貴)를 맹렬히 공격했는데 이로 인하여 1629년 여러 대신과 중신들에게 배척당하기도 하였다.

1631년(인조 9) 홍문관 수찬(弘文館 修撰)이 되었으나 한양 아현(阿峴)[서울특별시 마포구 아현동]의 거처에서 세상을 떠났다.

[학문과 저술]

1927년 신홍기(申鴻基)가 의성의 신석 기숙(申錫 基塾)에서 간행한 『만오집(晩悟集)』 10권 5책이 전하고 있다. 『만오집』 권5의 「가도봉사시문견계(椵島奉使時聞見啓)」 권7의 「강도 일록(江都 日錄)」 등은 정묘호란을 겪으면서 있었던 일들을 기록해 놓은 것으로 당시 정국을 살펴보는 데 좋은 자료가 된다.

[묘소]

묘소는 경상북도 의성군 의성읍 비봉리 오동산(梧桐山)에 있다.

[상훈과 추모]

1646년(인조 23) 도승지(都承旨)에 추증되고 1858년(철종 9) 단구 서원(丹邱 書院)[경상북도 의성군 봉양면 분토리]에 배향되었다.
2025-02-12
No. 제     목 글쓴이 날짜 조회
아주신씨 인물록   관리자 2025-01-24 17991
鵝洲申氏 墓碣銘(아주신씨 묘갈명)   관리자 2023-06-27 177065
아주신씨(鵝洲申氏) 고문서 목록   관리자 2021-08-27 306417
오봉(梧峯) 신지제(申之悌) 임진왜란 ○ 생애와 의병 활동 신수식   관리자 2021-06-10 260404
아주신씨시조(鵝州申氏 始祖)신영미(申英美)   관리자 2021-05-10 250301
아주신씨영모록(鵝洲申氏永慕錄)   관리자 2021-04-27 246368
아주신씨(鵝洲申氏) 오봉신선생 신도비명 전현수(경북대학교사학과교수)   관리자 2021-04-27 160360
의성(義城) 아주신씨(鵝州申氏) 가계(家系)와 고문서 자료(장필기)   관리자 2020-10-22 332939
600 동학농민전쟁과 의성 신면형(申冕瀅)  [ 1 ]  관리자 2025-03-05 17
599 의성읍지(義城郡誌 1985 人物篇 아주신씨)   관리자 2025-03-04 20
598 孝友錄 효우록 신원록(申元錄)  [ 1 ]  관리자 2025-02-25 29
597 慶尙監營啓錄 경상감영계록 신면호(申冕鎬)  [ 1 ]  관리자 2025-02-25 24
596 南譜 남보   관리자 2025-02-25 19
595 단밀 문풍 진작의 산실 봉성서당(鳳城書堂) 신원유(申元濡) 신우(申祐) 김안도(金安道)  [ 1 ]  관리자 2025-02-25 15
594 춘정집 (春亭集) 변계량(卞季良 1369 고려 공민왕18 ~ 1430 세종12)  [ 1 ]  관리자 2025-02-24 16
593 상산지 (商山誌) 신원유(申元濡) 신춘년(申椿年)  [ 3 ]  관리자 2025-02-24 25
592 무신창의록 (戊申倡義錄v2)  [ 1 ]  관리자 2025-02-24 18
591 고려 문하 주서 길재의 졸기   관리자 2025-02-20 26
590 義城지역 향촌지배층의 동학농민군 진압 申冕瀅(신면형)  [ 1 ]  관리자 2025-02-10 32
589 朝鮮時代 敎書 硏究 申之悌(신지제)  [ 1 ]  관리자 2025-02-10 30
588 退溪学資料叢塞解題(퇴계학자료총새해제) (신원록 申元祿 신달도(申達道))  [ 1 ]  관리자 2025-02-06 52
587 울릉도와 독도 그 역사적 검증 申奭鎬(신석호)  [ 1 ]  관리자 2025-02-06 44
586 禹仁圭의 哀感錄에 대한 고찰 申適道(신적도 1574∼1663)  [ 1 ]  관리자 2025-02-06 27
1 2 3 4 5 6 7 8 9 10